행복은 노력의 대가로 얻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소소함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행복은 노력의 대가로 얻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소소함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지란지교(芝蘭之交) 자세히보기

배움의 전당/국어 바루기

훈민정음 訓民正音

정부혜 2019. 7. 29. 18:33

요약 조선 4대 임금 세종이 1443년 창제하고 1446년 반포한 한국 고유의 문자체계, 또는 그를 설명한 책. 음소문자이면서 음절문자의 성격을 동시에 갖는다. 창제 당시에는 28자였으며, 28자를 이용한 병서·연서 문자와, 성조를 표시하는 방점이 쓰였다.오늘날에는 24자만 쓰인다. 글자의 창제과정에는 집현전 학자들의 연구가 뒷받침되었다. <훈민정음>은 훈민정음을 해석한 책이름인데, 1940년 7월에 발견되어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었으며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의 〈훈민정음〉 서문에 자주, 애민, 실용 정신이 반영된 세종의 어지가 실려 있으며 글자에 대한 설명과 사용법이 들어 있다.



훈민정음〉 서문에 자주, 애민, 실용 정신이 반영된 세종의 어지가 실려 있으며 글자에 대한 설명과 사용법이 들어 있다.


개요

1446년 반포된 한국의 문자체계. 1443년(세종 25년) 완성되어 1446년 음력 9월 상순(양력 10월 상순)에 반포되었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한때 언문(諺文)·언서(諺書)·반절(反切)·암클 등으로 낯춰 불리기도 했으며, 오늘날에는 '한글'이라고 한다. 문자체계의 특징은 한 음절을 초성·중성·종성으로 나누는 음소문자(音素文字)이면서 음절단위로 적는 음절문자의 성격을 함께 지닌 점이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문자체계는 초성 17자, 중성 11자로 모두 28자였으나, 그중 초성의 '이미지,이미지,ㅿ'과 중성의 '이미지'가 폐기되어, 오늘날에는 24자만 쓰인다.

훈민정음

〈훈민정음〉, 언해본, 서강대학교도서관 소장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창제 목적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은 서문에 명확하게 밝혀져 있다.

"나랏말이미지미 中國에 달아 文字와로 서르 이미지이미지디 아니이미지이미지 이런 젼이미지로 어린 百姓이 니르고져 이미지배 이셔도 이미지이미지내 제 뜻을 시러 펴디 몯이미지 노미 하니라 내 이이미지이미지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字를 이미지이미지노니 사이미지마다 이미지이미지이미지 니겨 날로 이미지메 便安킈 이미지고져 이미지 이미지이미지미니라"

서문에는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든 목적과 함께 새 글자 창제의 바탕을 이룬 정신이 나타나 있다. 즉 첫째 우리가 중국 글자를 빌려서 우리말을 적고 있으나 이는 중국말을 적는 데 맞는 글자이므로 우리말을 적는 데 맞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고, 우리말을 적는 데 맞는 글자를 만들기 위해 새 글자를 만든다고 한 점에 민족자주정신이 강하게 드러나 있다. 둘째, '어린(어리석은) 백성'이란 일반 백성을 가리키는 말로, 한자를 배울 수 없었던 사람들을 위해 배우기 쉬운 글자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민본정신이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나타난 '중국(中國)'이라는 명칭에 대해서는 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중국'이라는 이름은 주나라 때 편찬된 <시경(詩經)>에 처음 등장한 이후, 초기에는 현재 중국 대륙의 중심 지역인 주나라의 수도 일대를 의미하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이후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한 여러 국가를 두루 일컫는 말로 사용되어 왔다. 때로는 이 지역을 지배하는 나라들이 스스로 가장 중심이 되는 나라임을 드러내기 위해 '중국'이라고 일컫기도 했다. 하지만 1912년 신해혁명 이전까지 어느 왕조에서도 '중국'을 공식 국호로 택한 적은 없다.

그러나 고려와 조선 시대에도 당시 황하 일대를 지배했던 나라들에 대한 관습적인 호칭에 따라 그 여러나라를 두루 '중국'이라고 불러왔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건국 초기 태조 때의 기록에 당시 명나라 수도 일대를 '중국'이라고 기록한 자료가 있는 것으로 보아, 공식적으로도 이 지역 일대에 명멸한 한자 문화권의 국가들을 두루 '중국'이라고 불러왔던 것을 알 수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에서 이 나라들을 '중국'이라고 부른 이유는 한자가 본디 중국말을 쓰는 사람(즉 창제 당시의 국명인 명나라뿐 아니라 하, 은, 주 나라까지 거슬러 올라가 중국어를 사용해왔던 사람들)이 쓰던 문자임을 드러내기 위해서 이들을 모두 아우르는 역사적인 명칭으로 택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즉 해례본에서 '중국'이라고 표기한 의미는, 한자는 중국어를 쓰는 사람들에게 맞는 글자이므로, 한국어를 쓰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새로운 글자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 것이다.


창제 과정

창제과정은 조선시대의 일종의 연구소인 집현전의 학자들과 깊은 관련이 있다. 박팽년(朴彭年)·최항(崔恒)·신숙주(申叔舟)·성삼문(成三問)·강희안(姜希顔)·이개(李塏)·이선로(李善老) 등 집현전 학자들은 당시 지속적으로 세종의 사업을 뒷받침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훈민정음의 창제에는 당시의 유일한 언어학이었던 중국 운학이 큰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중국 운학은 일종의 음성학과 음운론의 연구로서 그 주된 목적은 운서편찬에 있었다.

따라서 중국 운학에 관심이 깊었던 학문적 경향이 언어에 대한 관심을 북돋우었고, 그것이 국어의 표기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과 이어진 결과 훈민정음 창제의 기틀이 되었으리라 추정된다. 이는 세종이 중국에서 사신이 올 때마다 의문나는 점을 물었고, 성삼문 등으로 하여금 랴오둥[遼東]에 귀양와 있던 명나라 한림학사 황찬(黃瓚)에게 13번이나 찾아가서 음운에 관하여 물어보게 했다는 기록으로도 알 수 있다.

1443년 훈민정음이 완성된 후, 세종은 3년간의 보충연구 기간을 가졌다. 이 기간 동안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지어 훈민정음의 실용성을 시험해 보는 한편, 집현전 학사들로 하여금 훈민정음의 본문을 풀이한 해례서를 편찬하게 했다. 세종은 훈민정음을 소개하는 책 이름을 글자 이름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 하여 판각했다.


문헌으로서의 <훈민정음>

책 <훈민정음>은 오랫동안 전해지지 않다가 1940년 7월 경상북도 안동군 와룡면 이한걸(李漢杰)의 집에서 발견되었는데, 현재는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을 〈훈민정음〉해례본, 〈훈민정음〉한문본, 〈훈민정음〉원본이라고 한다. 목판본 1책 33장이다. 사주쌍변(네 테두리가 2줄로 됨)에 유계(책의 행간에 경계선이 있음)이고, 소흑구(책의 중간인 판심의 위아래에 가느다란 검은 줄이 있음)로 되어 있다.

발견 당시 책의 처음 2장이 빠진 것을 나중에 붓글씨로 적어 넣을 때 실수하여 '세종어제서문'의 끝자인 '耳'자가 '矣'자로 바뀐 듯하다(〈세종실록〉에는 '耳'자로 기록됨). 이밖에 주해본 〈훈민정음〉으로는 희방사본(喜方寺本)·박씨본과 일본의 궁내성본(宮內省本)·가나자와본[金澤本] 등이 있다. 2008년 경북 상주에서 간송미술관 소장본과 동일한 판본이 발견되었는데, 서문 4장과 뒷장 1장이 없으나 학술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판본은 안동 광흥사 나한상 속에 있던 유물이었음이 밝혀졌으나 실물은 개인이 소장하고 있다.

<훈민정음>은 국어를 제대로 표기할 수 있는 문자가 필요하다는 통찰적 인식, 국어 사용자인 백성에 대한 애민 의식, 새로운 문자를 연구하고 체계적으로 창안한 과학적 인식 등을 한 책 안에서 보여주고 있어 문화사적인 면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책이라고 평가받아, 1997년 1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선정되었다.


<훈민정음>의 구성

훈민정음 해례본 복간본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훈민정음〉은 예의편·해례편·정인지서문의 3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의편은 훈민정음의 창제 취지와 새 글자의 음가 및 운용법에 관한 내용으로, 크게 7가지로 볼 수 있다. ① 훈민정음 창제 취지를 밝힌 세종의 서문, ② 초성 17자(ㄱㅋ이미지, ㄷㅌㄴ, ㅂㅍㅁ, ㅈㅊㅅ, ㅇㅎ이미지, ㄹㅿ 등)에 대한 설명, ③ 중성 11자(이미지 ㅡㅣㅗㅏㅜㅓㅛㅑㅠㅕ 등)에 관한 설명, ④ 종성은 초성을 다시 쓴다는 규정, ⑤ 순경음과 병서에 관한 규정, ⑥ 초성과 중성의 결합관계, ⑦ 평성·거성·상성·입성의 성조 표기에 관한 규정이 그것이다.

해례편은 새 글자의 제자원리와 그 음가 및 운용법, 문자가 표시하는 음운체계 등에 관한 내용으로, 제자해·초성해·중성해·종성해·합자해·용자례 등으로 나누어 기술되어 있다.

창제의 원리

세종 때는 고려 후기에 도입된 성리학이 더욱 발달한 시기였는데, 세종은 성리학의 근간을 이루는 태극설과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을 새 글자의 제자원리에 적용했다.

제자해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주의 모든 현상을 태극·음양·오행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사상을 받아들여 사람의 성음에도 음양의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 둘째, 훈민정음 28자의 자형은 상형에 의해 제정했다. 즉 아음의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설음의 'ㄴ'은 혀가 입천장에 붙는 모양을, 순음의 'ㅁ'은 입의 모양을, 치음의 'ㅅ'은 이의 모양을, 후음의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각각 본떠 만들었으며, 'ㄱㅋ', 'ㄴㄷㅌ', 'ㅁㅂㅍ', 'ㅅㅈㅊ', 'ㅇ이미지ㅎ'과 같이 획을 더하여 소리가 거세짐을 나타냈다.

셋째, 사람의 소리가 오행·계절·음계에 맞는다고 보았다. 넷째, 성음의 청탁(淸濁)을 중국의 운서에 따라 분류했다. 다섯째, 순경음의 자형구조와 발성에 대해 순경음이 양순마찰음(兩脣摩擦音)임을 설명했다. 여섯째, 중성 중 '이미지ㅡ ㅣ'에 대해서 천(天 : 이미지)·지(地 : ㅡ)·인(人 : ㅣ) 의 삼재론(三才論)을 내세워 설명하고, 나머지 8중성은 위의 세 글자의 교합(交合)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혔으며, 이를 합(闔)과 벽(闢), 양(陽)과 음(陰)으로 설명했다.

일곱째, 중성 '이미지ㅡ ㅣ'의 세 소리를 삼재 또는 삼극(三極)으로 보아, '이미지'는 '이미지ㅡ ㅣ' 세 소리의 으뜸[冠]이고, '이미지ㅡ ㅣ'는 8성의 머리[首]가 된다고 했다. 여덟째, 〈주역 周易〉의 계사에 나오는 "천일(天一)·지이(地二)·천삼(天三)·지사(地四)………"의 천수(天數)·지수(地數)를 중성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① '이미지'는 처음 하늘에서 나니 '천일생수'(天一生水)의 위(位)요,
② '이미지'는 다음이니 '천삼생목'(天三生木)의 위요,
③ '이미지'는 처음 땅에서 나니 '지이생화'(地二生火)의 위요,
④ '이미지'는 다음이니 '지사생금'(地四生金)의 위요,
⑤ '이미지'가 2번째 하늘에서 나니 '천칠성화'(天七成火)의 수(數)요,
⑥ '이미지'가 다음이니 '천구성금'(天九成金)의 수요,
⑦ '이미지'가 2번째 땅에서 나니 '지육성수'(地六成水)의 수요,
⑧ '이미지'는 다음이니 '지팔성목'(地八成木)의 수라 했다. 또한 '이미지'는 '천오생토'(天五生土)의 위요, 'ㅡ'는 '지십성토'(地十成土)의 수인데, 'ㅣ'만이 위수(位數)가 없다고 했다.
⑨ 초성이 종성으로 다시 쓰이는 것을 성리학의 관점에서 설명해, 만물이 땅에서 나서 땅으로 돌아감에 비유했다.
초성해

초성은 운서의 자모이며, 이로부터 성음이 생겨난다고 정의하고, 각 자모를 〈동국정운〉의 23자모 체계에 일치시켜 설명했다.

예를 들면 "아음인 '君'자의 초성은 'ㄱ'이고, 그 'ㄱ'이 '이미지'과 합쳐 '군'이 된다"라는 식이다.

중성해

중성은 자운(子韻)의 한가운데서 초성·종성과 합해 음절을 이룬다고 정의하고 합용의 예를 들었다.

첫째, '이미지'(呑)자의 중성은 '이미지'인데 '이미지'가 'ㅌ'과 'ㄴ' 사이에서 '이미지'이 되고, '즉'(卽)자의 중성은 'ㅡ'인데 'ㅡ'는 'ㅈ'과 'ㄱ' 사이에서 '즉'이 되며, '침'(侵)자의 중성은 'ㅣ'인데 'ㅣ'가 'ㅊ'과 'ㅁ' 사이에서 '침'이 된다. 둘째, 두 자의 합용에는 '이미지'와 '이미지'가 모두 '이미지'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 '이미지'가 되고, '이미지'와 '이미지'가 모두 'ㅣ'에서 나왔으므로 '이미지'가 되며, '이미지'와 '이미지'가 모두 'ㅡ'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 '이미지'가 되고, '이미지'와 '이미지'가 모두 'ㅣ'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 '이미지'가 되는 것이니, 서로 합해서 어그러짐이 없다.

셋째. 'ㅣ'자의 쓰임이 가장 많은데, 한 자의 중성으로 'ㅣ'와 서로 합하는 것은 '이미지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의 10자이며, 두 자의 중성으로 'ㅣ'와 합하는 것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의 4자이다.

종성해

종성은 초성과 중성을 이어받아 음절을 이룬다고 정의했는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리의 완급이 있으므로 평성·상성·거성 3성의 종성은 입성의 촉급(促急)과 같지 않고, 불청불탁의 자(이미지 ㄴ ㅁ ㅇ ㄹ ㅿ)는 소리가 세지 않아서 종성으로 쓰면 평성·상성·거성에 맞으며, 전청·차청·전탁은 소리가 거세어 종성으로 쓰면 입성이 된다. 따라서 '이미지 ㄴ ㅁ ㅇ ㄹ ㅿ'의 6자는 평성·상성·거성 3성의 종성이 되고, 나머지는 입성의 종성이 된다. 둘째, 'ㄱ 이미지 ㄷ ㄴ ㅂ ㅁ ㅅ ㄹ' 8자로 종성을 쓸 수 있다.

즉 'ㅅ ㅈ ㅿ ㅊ'은 'ㅅ'으로, 'ㄷ ㅌ'은 'ㄷ'으로, 'ㅂ ㅍ'은 'ㅂ'으로 통용될 수 있다. 셋째, 'ㅇ'은 소리가 맑고 비어서 반드시 종성으로 쓰지 않더라도 중성이 음을 이룰 수 있다(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에서는 중성으로 끝난 한자음에 'ㅇ'종성을 표기했음). 넷째, 반혓소리 'ㄹ'은 우리말 종성에만 쓰일 뿐 한자에는 쓸 수 없다.


합자해

초성·중성·종성의 자모가 실제 사용될 때 합자를 이루는 규정으로서, 25개 어휘의 표기상의 실례를 들어서 그 사용법을 설명하고 있다.

① 초성은 중성의 위 또는 왼쪽에 쓴다.

예를 들면 '군'(君)자의 'ㄱ'은 'ㅜ'위에 있고, '업'(業)자의 'ㅇ'은 'ㅓ'의 왼쪽에 있다.

② 중성은 초성의 밑이나 오른쪽에 쓴다. 둥근 것(이미지)과 가로 된 것(ㅡ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은 초성글자의 밑에 쓴다. 예를 들면 '즉'(卽)자의 'ㅡ'는 'ㅈ'의 밑에 있다. 세로된 것은(ㅣ이미지이미지이미지이미지)는 초성글자의 오른쪽에 쓴다. 예를 들면 '침'(侵)자의 'ㅣ'는 'ㅊ'의 오른쪽에 있다.
③ 종성은 초성·중성의 밑에 쓴다. 예를 들면 '군'(君)자의 'ㄴ'은 '구'자의 밑에 있다.
④~⑤ 병서에는 합용병서·각자병서가 있다.

합용병서의 예로는 '따'[地]의 'ㄸ', '짝'[隻]의 'ㅉ' 등이 있다. 각자병서의 예로는 '혀'는 '혀'[舌]의 뜻이나, '이미지'는 '인'[引]의 뜻이 되며, '괴여'는 내가 남을 사랑한다는 뜻인데, '괴이미지'는 내가 사랑받는다는 뜻이 되는 경우 등이다. 중성 합용의 예로는 '과'[琴株]의 '이미지', '홰'[炬]의 '이미지' 등이 있다. 종성 합용의 예로는 '흙'[土]의 ㄺ, '낛'[釣]의 ㄳ 등이 있다. 한글과 한자를 섞어 쓸 때, 한글로 한자의 중성·종성을 보충할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孔子ㅣ 魯ㅅ사람'에서 'ㅣ'와 'ㅅ' 등이다.

⑥ 중국의 4성을 도입하여 글자 왼편에 방점으로 표시한다. 그러나 중국어의 사성체계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국어의 성조 체계에 적합한 표기를 마련했다. 즉 평성은 점이 없고, 상성은 점 2개로 표시하고, 거성은 점 1개로 표시하며, 입성은 'ㄷ ㅂ'받침의 음절인데, 방점을 더하는 것은 평성·상성·거성의 경우와 같다.

초성의 '이미지'과 'ㅇ'은 서로 비슷해서 국어에서 통용될 수 있다.

⑧ 반설음 'ㄹ'에 경중이 있다.

국어에서는 구별해서 쓰지 않지만, 갖추어서 쓰고자 할 때는 순경음의 예를 따른다. 즉 'ㄹ'을 'ㅇ' 밑에 써서 반설경음(이미지)을 만든다.

⑨ 이중모음 '이미지이미지'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용자례

초성·중성·종성의 자모 하나하나에 대해 어휘의 표기상의 실례를 들어서 그 사용법을 보여준 내용이다. 예를 들면 ① 초성의 감 [杮 : ㄱ의 예]·콩[大頭 : ㅋ의 예]·담[墻 : ㄷ의 예]·벌[蜂 : ㅂ의 예], 뫼[山 : ㅁ의 예] 등, ② 중성의 이미지리[橋 : 이미지의 예]·믈[水 : ㅡ의 예]·밀[蠟 : ㅣ의 예]·논[水田 : ㅗ의 예] 등, ③ 종성의 닥[楮 : ㄱ의 예]·갇[笠 : ㄷ의 예]·범[虎 : ㅁ의 예]·잣[海松 : ㅅ의 예]·별[星 : ㄹ의 예] 등 94개의 어휘가 수록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