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노력의 대가로 얻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소소함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행복은 노력의 대가로 얻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소소함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지란지교(芝蘭之交) 자세히보기

지혜 건강 상식/생활 지혜 상식

조문 상식

정부혜 2018. 7. 9. 21:47

조문 상식

저도 잘못 알고 있는 내용이 있어 공유하고자 합니다.

* 조문 = 조상 + 문상

° 고인과 인연이 있는 분은
   조상.
° 상주와 친분이 있는 분은
   문상.

* 고인의 명복을 빌 때 사용
   하는 말이~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
     다"입니다.

돌아가신다는 것은 세상을 마감한다는 뜻이고, 명복이란 말은 저 세상에서 받는 복이란 뜻입니다.

즉,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는 것은 겸손하고, 조심하는 마음으로 다가올 저 세상에서 복을 받으세요 라는 뜻

그러므로, 육신은 죽었지만 영혼은 아직 진행형으로 저세상으로 가야 한다고 믿는 마음에서 끝에 "마침표" 를 찍지 않는다고 합니다. (☆중요)
마침표란 마친다는 뜻이지요.

또,
"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 할 때 띄워쓰기는 안 된다고 하네요. (☆중요)

그리고 원래 명복을 빌어줄
때는
"고인의명복을빕니다"가 올바른 표현이라고 합니다.

앞에 "삼가"를 붙일려면, 누구의
명복을 비는지 앞에 고인의 이름을 써야 합니다.

예를들면,
홍길동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 (O)

점을 붙이면 그 가족 까지 전부 죽어라 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 "부의금 봉투는 접는 것이 아니라고하네요".
하늘 나라 천국에 갈 때 노자돈으로 잘 꺼낼 수 있도록. (☆중요)

"축의금 봉투는 접는 것이 예의입니다".
복 나가지 말라고 말입니다.

조문이나 축하들 많이가시죠.!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