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일본의 저명인사들이 모인 30인 회의에서 선정한 ‘한·중·일 공통 상용한자 800자’. 3국의 ![](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307/14/htm_20130714170738312.jpg)
![](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307/18/htm_20130718144339a010a011.jpg)
![](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307/15/htm_2013071514236a010a011.jpg)
문자 사용자와 문자 정책가, 문자 연구가 등이 모인 전문가 위원회를 꾸려 지속적으로 보완·발전시킬
계획이다. ‘한·중·일 30인회’는 중앙일보와 신화사(중국), 니혼게이자이신문(일본) 등 세 나라의 대표
언론이 3국을 돌며 개최한다.
![](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307/14/htm_20130714170738312.jpg)
![](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307/18/htm_20130718144339a010a011.jpg)
![](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307/15/htm_2013071514236a010a011.jpg)
◆번체자(繁體字)=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한자의 표기방식을 말한다. ‘정체자(正體字)’라고도 한다. 한국과 대만,
그리고 홍콩에서 쓰인다. 중국은 문화대혁명(1966~76) 등을 거치며 높은 문맹률을 낮추기 위해 번체자 획수를
간략화한 ‘간체자(簡體字)’를 쓰고 있다. 일본은 ‘약자체(略字體)’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