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노력의 대가로 얻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소소함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행복은 노력의 대가로 얻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소소함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지란지교(芝蘭之交) 자세히보기

배움의 전당/컴퓨터 자료

사진이나 그림이 배꼽(X)으로 뜨면?

정부혜 2014. 4. 4. 13:26

사진이나 그림이 배꼽(X)으로 뜨면?

1) x 표 있는 곳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2) 메뉴창이 뜨는데 맨 아래 " 속성 " 을 선택하여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르면,

 

등록 정보 창이 뜬다.

 

3) 등록 정보 창에서 " 일반 " 탭에 URL 주소를 볼 수 있는데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이 주소를 훑고 지나면 청색으로 덮이게 된다.

 

4) 청색으로 덮인 부분에 커서를 놓고 마우스 오른 버튼을 누르면 다시 작은

 

메뉴 창이 뜨는데 여기서 " 복사 " 를 선택하여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5) 보고 있는 화면에서 키보드에서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L 키를 누른다.

 

6) 이 때 화면에 작은 창이 뜨는데 여기에 복사 했던

 

주소를 넣어 주고 " 확인 " 버튼을

누르면 X 표로 나타났던 곳의 실제 화면을 볼 수 있다.

 

게시판에 올린 그림이나 사진파일이 나타나지 않고

빨간 X표 배꼽만 보일 때가 있죠?

회사 컴퓨터에서는 보이는데 집의 컴퓨터에서는 안 보이거나

이와는 정 반대일 수 있습니다.

원인은 파일이름이 한글로 되어 있을 경우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파일이름을 영어나 숫자로 바꿔서 올리면

어느 컴퓨터에서나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 아시겠지만 모르시는 분은 유용할 것 같아

한글로 된 파일을 항상 볼 수 있는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인터넷 설정을 변경해 주어야 하는데

1. 창의 메뉴에서 "도구->인터넷옵션"을 선택합니다.

2. 나타나는 이터넷 옵션 창의 "고급"을 선택한다.

3. 나오는 목록 중 탐색의 "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4. "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이라는

부분이 체크되어 있으면 체크마크를 끈다.

5. "확인" 버튼을 누른 후에 모든 인터넷 창을 닫고 다시 시작하면

한글파일도 언제나 오케이.

 

가능한 한 그림이나 사진파일은 한글로 저장하지 맙시다.

이유는 포토앨범을 제공하는 웹사이트 대부분이

한글파일은 올리 수 없도록 되어있습니다.   

NAVER 등 다른 곳에서 가져온 그림이나 사진도 배꼽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