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꽃문+만자문 | |
옛말에 연꽃을 꽃의 군자라 했다. 진흙 속에서 피어나도 꽃잎에는 더러운 물이 묻지 않는다는 연꽃은 속세에 물들지 않는다는 뜻의 불교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연꽃문 역시 고귀한 품위를 뜻한다 |
백일홍문 | |
백일홍은 100일 동안 계속 피어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처럼 오랫동안 피어 있어 사람들의 사랑을 독차지한 백일홍은 소박한 시골처녀의 모습을 닮아 순박함과 청초함을 풍긴다. 떡살에서는 장수의 의미로 사용된다. |
박쥐문 | |
박쥐는 한자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오복(五福)의 상징물로 사용된다. 오복이란 장수, 부, 건강, 덕을 좋아하고 행하는 것, 명을 다한 후 자연사 하는 것을 말한다. 강한 번식력 때문에 다산, 득남을 상징하기도 하며, 생명력이 강한 여성 혹은 탄생과 성장을 의미한다 |
봉황문 | |
봉황은 새 중의 으뜸으로, 고상함과 성스러움울 나타낸다. 수컷을 봉, 암컷을 황이라 하는데 봉황은 정직, 청렴, 검소의 뜻을 지닌다. 또 봉황의 몸은 다섯 가지의 덕을 상징한다. 머리가 푸른 것은 인(仁), 목이 흰 것은 의(義), 등이 붉은 것은 예(禮), 가슴이 검은 것은 지(知), 다리 아래가 누런빛을 띠는 것은 신(信)을 뜻한다. 봉황문은 혼례떡에 많이 사용된다 |
새우문 | |
새우는 허리가 굽었다 해서 해로(海老)라 불린다. 해로는 부부의 해로(偕老)와 독음이 같다. 이 때문에 새우문은 부부가 오래도록 잘 살게 해달라는 뜻이 있다. 또 주로 해안 지방에서는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
새문 | |
예부터 새는 하늘을 오르내리는 영적인 동물로 인식됐다. 농경생활을 하던 청동기 시대에는 주술적인 동물로 여겨졌으며, 하늘과 땅의 영혼과 육신의 세계를 내왕하며 연락을 담당하는 동물로 생각됐다. 떡살 무늬에서는 꽃이나 나비와 함께 만남, 부부 금슬을 상징한다 |
난초문 | |
동서양을 막론하고 난초꽃은 정신적인 완성이나 순결을 상징한다. 보라색 꽃을 피우는 손(蓀)이란 품종은 손(孫)과 음이 같기 때문에 자손을 뜻한다. 따라서 꽃이 핀 난초 떡살 무늬는 자손을 의미한다. |
복숭아문 | |
삼다(三多)란 다수(多壽), 다복(多福), 다남(多男)을 말하는 것으로 인생의 최대 행복을 상징한다. 상징적인 식물은 복숭아, 석류, 불수감이 있다. 복숭아나 복숭아꽃은 아름다운 여인에 비유되어 복숭아를 먹으면 예뻐진다고 했으며, 민간 신앙에서는 복숭아와 복숭아나무가 귀신을 쫓는 효능을 지닌 것으로 믿었다 |
불수감문 | |
삼다(三多)를 상징하는 식물 중 하나인 불수감은 감귤과에 속하는 과일로 부처의 손을 닮았다 해서 불수(佛手)감이라 부르며 불교적인 의미로 많이 쓰인다. 또한 불수의 ‘불’이 복(福)과 발음이 유사하기에 복을 상징하기도 한다 |
학문 | |
학은 자태가 청초하고 고귀하여 신성한 새로 여겨졌다. 떡살에서 학문은 상서로움과 장수의 의미로 쓰인다 |
십장생문 | |
십장생은 민간 신앙 및 도교에서 불로장생을 상징하는 열 가지의 사물을 가리킨다. 해, 달, 구름과 산, 바위, 물, 학, 거북, 사슴, 소나무, 불로초, 대나무, 복숭아로 구성되며 장수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즐겨 사용하는 전통무늬다 |
석류문 | |
삼다(三多)를 상징하는 식물 중 하나인 석류는 붉은 주머니 속에 빛나는 씨앗들이 빈틈없이 들어 있어 다산을 연상하기에 충분하다. 또 맛이 시어 임산부들의 구미에 알맞아 생산이라는 의미와 결합된다. 떡살 무늬에서도 역시 다산의 의미로 결혼식에 자주 쓰인다. |
산수문 | |
산수문은 여성의 풍요로운 생산성과 공동체의 삶을 지향하는 어머니의 품, 그리고 장수를 상징한다. 산수는 영생이나 영원을 상징하며 떡살에서는 민화풍으로 도안화하여 다산과 장수의 의미로 사용된다 |
구름문 | |
구름문은 우주의 자연 현상을 형상화 시킨 것이며, 구름이 있는 곳에 하늘이 있기에 떡살에서는 성스러움을 표현한다 |
수문 | |
목숨 수(壽)자로 장수를 의미한다 |
만자문 | |
만(卍: 가슴 완)자는 석가모니가 태어날 때 가슴에 있었던 무늬. 이 무늬는 후세에 이르러 길상의 표시로 인식됐다. 또 불심을 상징하며, 윤회 등을 나타내고, 생명의 무한한 소생 및 영원함을 뜻한다. 떡살에서는 주로 밑그림으로 쓰이며 다른 무늬와 함께 어우러져 사용된다 |
길상문+태극문 | |
길상문은 모든 일이 뜻대로 잘 되기를 바라는 뜻을 담고 있다. 길상문 중 식물문 무늬는 소나무·매화·연꽃 등이 있다. 또 길상문의 일종인 기하문에는 만(卍)자문이, 산수문에는 풍경·새 무늬 등이 있다. 태극문의 태극은, 익히 알려져 있듯, 하늘과 땅이 나누어지기 전 우주만물의 근원을 뜻한다. 태극은 하늘이고 우주이며 해와 달이고 음양의 본체다. 태극문은 음양의 화합을 통한 풍년과 다산을 상징한다. |
물고기문(쌍어문+자리문) | |
물고기는 알을 많이 낳기 때문에 다산과 풍요, 부부의 금슬을 상징한다. 물고기 중 특히 잉어는 남자, 메기는 여자를 상징. 이 물고기들은 음양의 화합과 부부애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주로 해안 지방에서 많이 쓰이는 물고기문은 건강한 남자 아이가 태어나, 이후 넓은 세상으로 힘차게 나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
만자문+뇌문+연꽃문 | |
다른 무늬들과 어우러진 만자문 |
매화문+석쇠문 | |
매화는 삶의 의욕과 희망을 되찾아주는 눈 속의 꽃이다. 추위를 이기고 꽃을 피운다고 해서 불의에 굴하지 않는 선비정신의 표상으로 많이 쓰인다. 또 매화의 향은 선비의 고결한 덕을 상징한다. 흰 매화는 백매(白梅)라 하여 눈썹이 희도록 장수하라는 뜻을 지니며, 대나무와 함께 도안하면 부부를 상징하기도 하는데, 이때 매화는 아내, 대나무는 남편을 상징한다. 함께 어우러져 있는 석쇠문은 가로세로의 선이 성글게 얽혀 있는 무늬로 완벽한 구조, 법제, 질서를 상징한다. |
국화문+석쇠문 | |
국화는 늦서리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청초한 모습을 잃지 않는다 해서 길상, 상서, 장수의 의미를 지니며 높은 절개를 상징한다. 따라서 떡살 무늬에서도 장수의 의미로 사용한다. 함께 어우러진 석쇠문은 완벽한 구조, 법제, 질서를 상징한다. |
대나무문+석쇠문 | |
대나무는 번식력이 강해 영생과 불변을 상징한다. 또 속이 비어있어도 강하고 유연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사계절 내내 색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유교적 의미로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사군자의 하나다. 한편 속이 비어 있어 불에 탈 때 공기의 팽창으로 요란한 소리를 내는데 이 소리로 잡귀를 물리친다 해서 축귀(逐鬼: 잡귀를 쫓음)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함께 어우러진 석쇠문은 완벽한 구조, 법제, 질서를 상징한다. |
거북문 | |
거북은 십장생의 하나로 장수를 상징한다. 등껍데기는 상갑(上甲)이라 |
'지혜 건강 상식 > 요리 레시피 먹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뿌리채소로 만든 연근샌드 (0) | 2017.09.23 |
---|---|
죽기전에 꼭 먹어봐야 할 향토 별미30 (0) | 2017.09.16 |
새우젓간이 정말 매력적인 동태 맑은탕 (0) | 2017.04.20 |
시원한 콩나물 김치국 끓이기 (0) | 2017.04.20 |
양배추 사과 샐러드 (0) | 2017.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