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대 이동통신
다른 표기 언어 5G, IMT-2020 동의어
5G 이동통신, 아이엠티-2020
‘5G 이동통신(5G, IMT-2020)’에서는 전달 속도(Latency, 지연)도 빨라진다. 전달 속도는 크기가 작은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 서버 등을 오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5G 이동통신에서는 4G보다 10배쯤 더 빨라질 전망이다.
예를 들어 전달 속도가 빨라지면 이동통신망을 사용하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안전성이 강화된다.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간이 짧아져 자동차가 장애물이나 다른 차량을 피하도록 하는 제어 속도가 빨라지는 셈이다.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실제 현장에 있는 것 처럼 상황을 판단할 수 있고, 아무런 지연 없이 장비나 로봇 등을 조작할 수도 있다.
5세대(G) 이동통신은 오는 2020년경 상용화될 전망이다. 5G 이동통신기술은 아직 표준이 공인되지 않았다. 기술 선점을 위한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한 이유다. 우리나라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세계 최초로 5G 이동통신 시범 서비스를 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2014년 100km 이상으로 달리는 차 안에서 5G 이동통신을 시연하는 데 성공했다. 1초에 약 150MB(메가바이트) 데이터를 전송했다. 실험실이 아닌 실제 사용 환경에서 기가급 5G 이동통신을 시연한 것은 처음이다‘. KT’는 2016년 11월 세계 최초로 2019년에 5G 이동통신을 상용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상용화 시기를 1년 앞당긴 것이다.
일본 정부는 2020년 ‘도쿄 하계올림픽’ 때 5G 이동통신의 상용 서비스에 나설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총무성 산하에 5G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렸다. 중국은 2018년 ‘러시아월드컵’을 노린다. '화웨이’와 ‘메가폰’은 오는 2018년 러시아월드컵에서 5G 네트워크 시범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두 회사는 2017년 6월까지 5G 네트워크 개발 사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 본 자료는 2016년도 미래창조과학부의 방송통신발전기금 재원으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지원을 받아 수행된 과제(ICT 표준 확산 연구) 결과의 일부로 발간된 자료입니다.
- ・ 본 자료의 무단 복제를 금하며, 가공 · 인용할 때는 반드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결과물 임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신문과 방송뉴스를 보면 하루가 멀다 하고 신조어가 등장합니다. 읽을수는 있지만 무슨 뜻인지 모르는 단어가 많습니다. 정보통신기술(ICT) 발전 속도는 그만큼 빠릅니다...펼쳐보기
'배움의 전당 > 컴퓨터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넥티드 카 (0) | 2019.10.30 |
---|---|
사물인터넷 (0) | 2019.10.30 |
배경음악, Q&A 게시판 서비스 종료 안내 (0) | 2019.10.20 |
유튜브 주소 가져오는 방법 (0) | 2019.10.20 |
가을 스킨 모음 (0) | 2019.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