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노력의 대가로 얻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소소함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행복은 노력의 대가로 얻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소소함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지란지교(芝蘭之交) 자세히보기

문학의 정취/감동글 좋은글

지음(知音)

정부혜 2008. 3. 8. 11:09

 

 

지음(知音)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유백아(兪伯牙)라는 거문고의 달인이 있었다고 한다. 한번

은 고국의 초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고향을 찾았는데 마침 그날이 추석이라 휘영

청 밝은 달을 배경으로 구성지게 거문고를 뜯고 있었는데,

그때 몰래 그의 연주를 듣고 찾아온 사람이 허름한 차림의 젊은 나무꾼인 종자기
(種子期)라는 사람이 었는데 그가 그 음악을 꿰뚫고 감탄을 하자 유백아는 무릎

을 탁 치면서 말했다

"당신이야 말로 진정 소리를 아는 분이십니다."라고 하며 그래서 두사람은 의형제

를 맺고 내년에 다시 만날것을 약속하고 헤어졌다가 그 이듬해에 찾아왔을 때 종

자기는 이미 죽고 없었다.

백아가 종자기의 묘를 찾아서 너무도 슬픈 나머지 최후의 한곡을 뜯고 그만 거문

고를 산산조각내어 버렸다. 종자기 같은 자기의 음을 알아주는 "지음"이 없으니 더

이상 거문고 를 연주하고 싶은 생각이 없었기 때문에 거문고의 줄을 끊었다는 "伯

牙絶鉉"의 고사로서

이때부터
"지음"은 "마음속까지 통할 수 있는 절친한 친구"를 뜻하게 되었다 하는데 신라시대

대문장가"崔致遠"선생의 "秋夜雨中"(가을밤에 비는내리고)의 시에" 世路少知音" (이

세상에 내 마음을 알아주는 친구가 적으니) 이란 구절을 보더라도 "지음"은 이미 오

래전부터 사용하였슴을 알수가 있겠다.

3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