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노력의 대가로 얻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소소함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행복은 노력의 대가로 얻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소소함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지란지교(芝蘭之交) 자세히보기

음악의 산책/클래식

Mozart/Piano Concerto No.23 in A Major

정부혜 2008. 7. 12. 18:03

'음악의 산책 > 클래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zart

Orchestra del teatro alla Scala
Carlo Maria Guilini, Cond.
Piano: Vladimir Horowitz

Piano Concerto No.23 in A Major,  K.488


1. Allegro
2. Adagio
3. Allegro Assai




 

 

모짜르트 피아노 협주곡 분석


모짜르트의 작품에서 협주곡, 특히 피아노 협주곡은 18세기 후반의 어떤
작곡가의 곡들보다도 중요한 비중을 갖는다.
교향곡과 4중주의 영역에서 하이든이 모짜르트에 필적할만 하지만,
모짜르트의 협주곡들은 누구의 것과도 비교될 수 없다.
교향곡들조차도 그토록 풍부한 기법, 그토록 폭 넓고 생기있는 상상력을
갖고 있지 못하며, 음악적 착상을 조직해 내는데 있어서 그토록 직관적이며
풍부하지 못하다.

고전 협주곡 형식은 1780년대에 모짜르트가 결정적으로 확립한 것으로서,
다른 두 악장에 비해서 첫 악장이 보다 길고 무게있다는 점에서
비발디의 협주곡과 흡사하다.
그러나 모짜르트의 협주곡이 비발디, 그리고 C.P.E 바흐와 J.C 바흐를
포함하여 모든 그 이전의 작곡가들의 협주곡과 다른 점은
독주악기와 관현악과의 관계이다.

피아노가 그 음역과 자유자재함에 있어서 관현악과 거의 동등하기 때문에,
이 둘은 동등한 주역으로서 교향악적 짜임새 안에서 처리되게 되었는데,
이것은 뚜띠와 독주부분이 분명하게 구분되어 규칙적으로 교대되는 옛 관념을
상당한 정도로 수정시킨 것이다.
그러나 전통적 구성이 완전히 버려질 수 는 없음도 당연하다.


모짜르트 협주곡들의 첫 악장을 대체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전형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 주된 주제 몇개의 관현악 예비 제시, 대개 주조를 중심으로 움직인다.
2. 관현악과 피아노의 본격 제시, 흔히 부다적인 주제가 도입되고,
전이부와 종지부들이 확장되어  교향곡의 첫 악장처럼 속조 또는
관계 장조로 전조된다.
3. 관현악으로 앞서 나온 종지를 코데타같은 형식으로 확장한다.
4. 피아노와 관현악에 의한 발전부, 이는 교향곡과 같다.
5. 피아노와 관현악의 재현부, 모짜르트는 여기서 주제의 순서와 조합에 있어서
많은 다양성을 펼쳐 보여 준다.
6. 관현악의 둘째 코데타, 주화음의 64화음에 이르러 멈춘다.
7. 피아노의 카덴짜, 모짜르트 자신이 연주할 때에는 작곡가가 독주가각 되어
즉흥 연주하는 부분, 그렇지 않더라도 그전까지 나온 주제적 재료들을
자유로운 음형으로  마음대로 사용하는 즉흥연주 양식이기 마련이다.
이것은 속 7 화음 위에서 상주음(Re)의 관습적인 트릴로 끝나며
주화음으로 종지한다.
8. 피아노 없이 관현악만을 위한 종지부.(예외 피아노 협주곡 K.271, K.491)


물론 이 대체적인 설계는 온갖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모짜르트의 협주곡에서 가장 매혹적인 한 특징을 이루는 면모는 그가
한 악장 안에서 주제들의 반복 출현을 용의주도하게 배치하여 이룩한 균형이다.
예를들면 첫 관현악 뚜띠를 요약 압축하여 만드는 따위이다.

위에 분석한 모형은 소나타 형식(교향악의 1악장 양식)과 관현악 리토르넬로를
갖는 아리아 형식(위 분석의 1, 3, 6, 8항)과, 카덴짜를 결합한 것이다.
모짜르트 협주곡의 둘째 악장은 안단테나 라르게토, 또는 알레그레토의
서정적인 아리아와 같다.
그것은 주조에 대해서 하속조나 속조, 또는 관계 단조로 된다.
그 형식은 세부에 있어서는 지극히 다양할 수 있지만, 발전부 없는
일종의 변형된 소나타 구조일 때가 제일 많고 K.466의 Romanza 처럼
세 부분(ABA)형식이 그 다음으로 많다.
피날레는 대중적인 성격을 갖는 주제에 의한 전형적인 론도나 소나타 론도 형식인데
이 주제들은 불 꽃 튀는 기교파 양식으로 처리되며 한개 이상의 카덴짜를 갖는다.

이 협주곡들은 청중을 현혹시키기 위한 흥행성 작품들이지만, 모짜르트는
그 과시하는 요소들의 고삐를 놓치지 않는다.
관현악 부분과 독주 부분간에 음악적 흥미의 균형이 항상 견실하게 유지되며,
모짜르트의 귀는 관현악 악기들과 피아노가 상호 작용하여 일으키는 음색과
짜임새의 무수한 조합들을 빈틈없이 파악하고 있다.
그뿐 아니라 그의 협주곡들은 청중에게 즉각적으로 받아들여질 것을 목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 형식을 그의 음악적 사상의
가장 심오한 표현의 매체로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 모짜르트 피아노 협주곡 23번의 2악장은 재즈 음반이나 드라마, CF에
자주 사용되어 귀에 익숙한 곡입니다. 

 

Maurice Ravel/Boléro for Piano/Maurice Ravel, Piano  (0) 2008.07.12
멘델스존 - 바이올린 협주곡 D단조 - 트럼펫 협주곡으로 편곡  (0) 2008.07.12
베토벤 - 에그몬트 서곡  (0) 2008.07.12
Concerto For Harp And Orchestra/Handel  (0) 2008.07.12
슈만 - 환상곡(Fantasie) C장조 Op.17  (0) 2008.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