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무선 주전자 사용법
1. 배터리에 수건 엎어놓고 뜨거운 물을 붙는다.
2. 캬브레터에 들이 붙는다.
3. 물통에 담아서 실내 예열한다.
4. 유리가 아닌 차체 눈 치울때.
무선 주전자 사용시 주의할점
1. 땅바닥에 떨어뜨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통째로 물에 담그면 안된다. ( 밑판부분이 물에 젖으면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이 있다. )
3. 사용후에는 잘닦고 내부와 외부의 물기를 완전히 없앤 다음 보관한다.
4. 물을 채우기 전, 사용후, 세척시에는 반드시 전원플러그를 뽑아야한다.
5. 세척 또는 보관하기 전에 제품의 열을 식힌 후 보관, 세척해야한다.
6. 작동되고 있는 도중에 물을 채워 보충하면 위험하므로 전원을 끈 후 물을 채운다.
7. 물 이외에 커피나 우유 등 다른 성분의 액체를 가열하면 매우 위험하므로 물이외의 물질은 가열하면 안된다.
8.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원스위치의 불이 꺼지기 전에는 베이스로부터 본체를 분리하면 안된다.
점검 방법
고장 났을 경우에는 A/S를 맡긴다.
②세탁기 사용법
1. 세탁시 세탁물의 양, 세제의 농도, 물의 온도(약 30'C 정도) 등이 적당해야 때가 잘빠진다.
2. 세탁물을 넣기 전에 세제를 먼저 녹이지 않으면 세제가 의류에 직접 닿아 세제에의한 부분탈색 현상을 일으킬 수가 있다.
3. 지퍼 및 단추는 잠그고 세탁하여야 한다.
4. 세탁물을 너무 많이 넣으면 빠는 힘이약해지므로 적당량을 넣어 빤다.
5. 니트 또는 섬세한 의류는 망속에 넣어서 세탁하는것이 안전하다.
6.짙은색상 및 흰색은 분리해서 세탁하는것이 좋다.
세탁기 사용시 주의할점
1.세탁기를 사용하고 뚜껑을 덮어놓으면 습기가차서 안에 냄새가 배거나 균이 번식할 수 가 있으므로 세탁후에는 뚜껑을 열어놓아야한다.
2. 세탁하기 전 세탁물이 세탁기 세탁에 적합한것인지 확인한다.
3. 세탁 중 옷에서 떨어진 단추, 동전,, 장식물 등이 세탁기 내부로 들어가면 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미리 살핀다
4. 뢰전하고 있을 때는 위험하므로 어떤 경우라도 손을 넣지 않는다.
점검방법
1. 모터의 불량일 경우 : 세탁시 끼익끼익하는 소음이 크거나 한쪽으로는 잘도는데 한쪽으로는 안돌거나 한쪽으로 돌때만 소음이 큰경우에는 샤프트르르 교체하거나 새로 구입하는것이 좋다.
2. 밸트의 불량일 경우 : 회전력이 약해지고 통의 회전반경이 커지는 경우에는 관련일을 하시는 분을 부르셔서 밸트를 교체한다.
③가습기 사용법
1. 끓인 물이나 정수기 물을 넣어야 세균번식을 막을 수 있으니 반드시 끓인 물을 넣어야 한다.
2. 머리�에 두면 과다한 습기로 인해 감기가 걸릴 수 있으니 방 한 구석의 1.5M 높이 정도에 둔다.
3. 잠자는 동안 약 2시간 30분 정도만 튼다.
가습기 사용시 주의사항
1. 물을 매일 갈아준다.
2. 가습기 청소를 매일 한다.
3. 가능하면 끓였다 식힌 물을 사용한다.
4. 환기를 잘시켜야 한다.
점검 방법
1. 가습기의 히팅코일 및 팬에 부착된 스케일을 제거하여야 한다.
2. 압축기 및 응축기 각 밸브의 개폐상태를 점검, 조정하여야 한다.
3. 자동제어반내의 먼지 및 오물을 제거하여 접촉상태가 원활하도록한다.
④전자레인지 사용법
1. 가열 중에 식품을 회전시키거나 저어 줌으로써 열이 평균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2. 표면의 수분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그릇에 덮개나 랩을 씌어준다.
전자레인지 사용시 주의사항
1. 랩을 씌울경우 공기가 통하도록 너무 밀착시키지 않도록한다.
2. 과자봉지나 비밀봉지를 넣고서 사용한다면 전기가 일어나 폭발이 일어날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3. 금속그릇은 사용하면 안된다.
점검 방법
작동이 안될경우 :
1. 코드르르 뽑는다.
2. 제품을 뜯어본다. ( 일반인은 위험하므로 함부로 뜯지 마세요. )
3. 휴즈가 단선이 되었다면 같은 암페어로 교체한다.
⑤텔레비전 사용법
1. 전원 플러그의 코드를 잡고 빼지 마세요.
2. 전원 플러그 부근에 열기구를 놓지 말아야한다.\
텔레비전 사용시 주의사항
1. 텔레비전 위치는 적절한 시청거리를 유지해야 시력을 해치지 않는다.
2. 무거운 물건을 올려 놓거나 덮개로 통풍을 막지 마세요.
3. 천둥, 번개가 칠때나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원플러그르르 뽑아주세요.
4. 제품을 분해하지 마시오. ( 고장의 원인이 되며 감전의 위험이 있기때문에 )
점검 방법
텔레비전은 속이 복잡하므로 고장이 났을때에는 전문가를 불러 점검한다.
⑥전기밥솥 사용법
1. 밥을 한번에 지을 수 있는 최대량보다 많이 지으면 밥이 설거나 넘치는현상이 일어나므로 밥을 지을때에는 적당량을 짓는다.
2. 최적 보온 시간인 12시간 이상 보온하게 되면 변색되거나 냄새가 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한다.
3. 주걱이나 따뜻한 밥, 찬밥을 함께 넣거나 잡곡밥을 보온하게 되면 냄새가 나는 영향이므 조심하도록 한다.
전기밥솥 사용시 주의할점
1. 속밥통을 잘못해서 떨어뜨리거나 바닥에 무리한 힘을 가해 바닥이 울퉁불퉁 변형되면 열판되의 접촉이 나빠져 취사가 되지 않으므로 조심해서 다룬다.
2. 속밥통을 가스레인지나 곤로 위에 사용하지 않는다.
점검 방법
1. 밥이 솥에 눌러 붙을 때 : 솥의 밑면에 밥 찌꺼가 남아 있지는 않았는지 확인한다.
밥이 다 되었을 때 취사 버튼을 또 누르지는 않았는지 확인한다.
솥의 밑면이 크게 긁혀 있지는 않은지 확인한다.
⑦선풍기 사용법
1. 선풍기는 가능하면 전력소비가 적은 미풍으로 사용한다.
2.선풍기는 2시간이상 사용하지 말자
선풍기 사용시 주의할점
1. 망에 먼지가 쌓였을경우 그 먼지가 날아갈수있으니 수시로 씻어 준다.
2. 잠들기전에 끄지 않으면 죽을수도있으므로 잠들기 전에는 반드시 꺼야한다.
점검 방법
1. 날개가 돌아가지 않을때 : 콘센트가 빠져있는지 본다.
시간 선택 스위치가 0에 위치해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본다.
2. 심한 소음과 진동이 있을 때 : 안전망, 날개, 커버 등의 조립 부분이 헐거워진 것은 아닌지 살펴본다.
'지혜 건강 상식 > 생활 지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이의 기원 (0) | 2009.02.13 |
---|---|
핸드폰이 물에 빠졌을 때 대처방법! (0) | 2009.02.11 |
정월 대보름의 유래 (0) | 2009.02.08 |
사과할 때 어떤 방법이 가장 좋을까요? (0) | 2009.02.05 |
아기가 울때 뚝 그치게 하는 방법 없나요? (0) | 2009.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