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보름의 유래![]() ★...옛날 조상들은 달이 밝은 밤을 신비롭게 여겼다. 특히 보름날 밤에는 둥근 달을 보며 더욱 흥겨워 했다. 그래서 일 년 중에서도 첫 번째 찾아오는 정월 보름은 더욱 소중히 여겨서 "대보름"이라고 보르게 된 것이다. 정월 대보름날 뜨는 보름달을 보며 한 해의 소원을 빌며 그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그래서 농부들은 풍년이 들기를 빌곤 했다. |
부럼
대보름날 새벽에 날밤,호도,은행,무,잣,땅콩 등을 깨물면서 "일 년 열두 달 동안 무사 태평하고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게 해주십시오"라고 축수하며, 깨무는 '딱'소리에 잡귀가 물러간다고 했으며 이를 단단히 하는 방법이라고도 한다.
♥ 부럼 깨고 건강할래요![]() |
♥ 부럼 먹으면 부스럼 안나죠![]() |
귀밝이술
대보름날 아침 웃어른께 데우지 않은 청주를 드시게 하여 귀가 밝아지길 바라며 또한 일 년 내내 좋은 소리 듣기를 기원하였다. 오곡밥
정월 대보름날 다섯 가지 곡식을 섞어서 지은 밥으로 성이 다른 세 집의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수가 좋다고 하여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으며 이날은 아홉 번 먹어야 좋다고 하여 틈틈이 여러 번을 먹는다.
♥ 복(福)과 풍년을 기원하는 마음 '정월 대보름'![]() |
♥ 대보름엔 오곡밥 드세요![]() |
달맞이
대보름날 저녁, 달이 동쪽에서 솟아오르는 것을 보려고, 횃불을 들고 뒷동산에 올라가는 것을 말한다.
달이 솟아 오르면 횃불을 땅에 꽂고 두손을 모아 합장하고 농부는 풍년을, 도령은 장원 급제를, 처녀.총각은 시집.장가 가기를 빌면,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믿었다.
또한 대보름날 달빛이 진하면 풍년이 들고 달빛이 흐리면 흉년이 든다고도 믿었다.
![](http://icon.sie.net/image/homepage/blit/bul1e.gif)
14일과 대보름날 밤에는 들에 나가서 논둑 밭둑에 불을 놓아 태우는데, 이를 쥐불놀이라고한다.
쥐불놀이는 잡귀를 쫓기 위해서이지만 잡초를 태움으로써 해충의 알을 죽이고, 그 재는 봄에 새싹이 날 때 거름이 된다.
쥐불놀이를 하면 1년 동안 병에 걸리지 않고 액을 쫓는다고 믿었다.
♥ ‘풍요를 소원하며…’ 쥐불놓이![]() |
달집 태우기
정월 대보름날 달이 뜰 무렵 마을 뒷산이나 마당에서 달집 태우기를 한다.
소나무를 세우고, 그옆에 집집마다에서 얻어 온 짚단을 세우면 마치 큰 노적처럼 된다.
달이 떠서 막 보일 적에 여기에 불을 붙인다.
불길이 훨훨 잘 타야만 마을이 편안하고 그 해 풍년이 든다고 한다.
달집 태울 때에 마을 사람들은 농악을 치며 즐겁게 논다.
♥ 달집 태우기![]() |
♥ 한해 소원성취 비옵니다![]() |
다리밟기
정월 대보름날 밤에 다리를 밟으면 1년 동안 다리 병을 앓지 않고 건강하며, 다리 열둘을 밟으면 일 년 열두 달 동안 건강하게 지내며 애을 면한다고 한다.
고려시대 부터 남녀가 쌍쌍이 다리를 밟았다고 전한다.
서울에서는 광교와 수표교가 가장 혼잡했다고 한다.
♥ 다리밟기, 올 한해도 탈없이![]() |
♥ “올해 소원 다 이뤄졌으면”![]() |
지신밟기
음력 정초에 지신을 진압하여 잡귀를 물리치고 마을과 가정의 안녕을 빌던 마을행사
지방에 따라 마당밟기·매귀라고도 한다. 해마다 음력 정월 3~14일에 행하며 지금은 영남지방에 많이 남아 있다.
꽹과리·북·장구·징 등을 갖춘 풍물패가 앞서고 양반·하동(河童)·포수·머슴·각시 등이 뒤따르며 길놀이를 한다.
놀이의 맨 처음은 주산(主山) 지신풀이로, 마을의 주산을 찾아가서 서낭목신이 있는 서낭당 앞에서 제사를 올린 후 지신풀이를 한다.
다음은 당산신을 위한 제사를 올린 후 지신풀이를 하며, 이후부터 각 집을 돈다.
지신밟기패가 집에 오면 주인은 정화수를 떠놓고 지신밟기패는 각각 연희와 소리를 하며 지신풀이를 한다.
지신풀이가 끝나면 주인은 음식을 베풀고 성금을 낸다.
지신밟기패는 여기서 모인 성금으로 마을 공동사업비용에 쓴다
♥ 지신밟기![]() ★...풍물패의 지신밟기에 인근상가 주인들이 나와 소원을 빌고 술과 음식을 내왔다 |
♥ 복을 기원합니다![]() |
입춘(立春, 양력2월4.5일경)
입춘에는 입춘대길(立春大吉)·국태민안(國泰民安) 같은 춘첩자(春帖子)나 춘축(春祝)을 대문간에 써붙여 봄을 맞이했다.
입춘날에는 춘련(春聯) 또는 입춘첩(立春帖)이라 하여 좋은 글 곧 '立春大吉'등을 써서 대문에 붙이고 일 년이 길하기를 축원하였다.
입춘 오신반인(立春五辛盤)인 시고 매운 생채 요리를 만들어 새봄의 미각을 돋게 하였다.
또한 장을 담그는 시기이기도 하다
♥ 다시 오는 봄 `입춘대길` |
♥ 전국 유일 제주 입춘굿놀이![]() |
'지혜 건강 상식 > 생활 지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폰이 물에 빠졌을 때 대처방법! (0) | 2009.02.11 |
---|---|
가전 제품 사용법 (0) | 2009.02.11 |
사과할 때 어떤 방법이 가장 좋을까요? (0) | 2009.02.05 |
아기가 울때 뚝 그치게 하는 방법 없나요? (0) | 2009.02.05 |
냄비 안쪽에 거멓게 낀 탄것? 없애는 방법 알려주세요. (0) | 2009.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