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종(COPD)
Cigarette Smoking Is a Major Caus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a general term used when a patient suffers from airway obstruction that is not reversible. COPD patients include those with chronic bronchitis, emphysema, or both of these respiratory conditions. Patients with COPD can also have asthma, a reversible airway obstruction, complicating their condition.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COPD have both chronic bronchitis and emphysema. The highest risk factors for developing COPD in the U.S. are cigarette smoking and aging. Workplace or environmental pollution with chemical fumes or dust is another source of obstructive airway disease. The typical patient with COPD begins showing symptoms of chronic cough with sputum in their 40s or 50s. In their 50s and 60s, they visit the doctor with symptoms of shortness of breath. A diagnosis of COPD is based on the patient's history of symptoms, chest x-ray, and pulmonary function(breathing) tests. Treatment is aimed at preventing further worsening of symptoms by avoiding smoking, pollution or other triggers of symptoms, including infections. Proper nutrition and exercise also help the patient with COPD to lead an active, productive life.
폐기종은 만성 폐질환으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 즉 COPD의 두 형태 중 하나이다(또 다른 형태는 만성 기관지염이다). 미국인 약 3백만명이 폐기종을 앓고 있다.
폐기종의 가장 흔한 원인은 수년간의 흡연과 환경적인 독소에의 노출이다. 폐기종에서는 폐에 있는 수백만 개의 미세 공기 주머니가 커지고 결국 파괴된다.
폐포로 알려진 이들 공기 주머니가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들의 파괴는 혈중 산소 농도의 감소와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을 야기시킨다. 이 결과로 호흡 곤란이 나타나며, 이는 수년 후에 더 현저해진다. 종국적으로 이 질환은 심부전을 유발한다. 페기종은 영구적인 중증 질환이며, 비록 약물에 의해서 증상이 어느 정도는 경감될 수 있더라도 이 질환이 역전될 수 없다. 기관지 확장제로 알려진 약물들이 다소 효과적이며, 숨쉬는 것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처방된다. 흡입용 또는 경구용 부신피질 호르몬과 산소 치료 또한 처방될 수 있다.
폐기종이 있는 일부 환자들은 알파-1 안티트립신으로 알려진 단백질의 결핍으로 인한 유전적인 질병 형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적인 요인은 작은 수의 환자에서만 이 질환의 원인이 된다.
산소의 혈류도달 불가능
폐포의 파괴는 혈중 산소 농도를 낮춘다. 폐기종에 가장 효과있는 치료법은 금연하는 것이며, 이는 호흡 곤란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폐기종에서는 폐를 구성하는 3억개의 공기 주머니(폐포)가 비가역적으로 커지고 그 벽이 파괴된다. 이들 공기 주머니를 통해서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교환되기 때문에 공기 주머니가 파괴되면 산소가 혈류에 도달하는 것이 힘들어질 수 있다. 동시에 호흡시에 폐가 확장, 수축하는 것을 돕는 탄성 섬유가 서서히 파괴된다. 이러한 탄성도가 없으면 환자들은 숨을 내쉬는 것이 힘들어진다.
△주요 증상:폐기종 환자에서 나타나는 주요 증상은 호흡 곤란이다. 초기에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운동 또는 활동시에 이를 인지하게 된다. 마침내는 윗충에 올라가는 것과 같은 단순한 일을 하는 것도 어려워진다. 폐기종이 있는 다수의 환자들은 또한 만성 기관지염을 앓게 되는 데 이는 객담을 수반한 기침을 유발한다. 폐기종은 의사가 증상의 완전한 기왕력을 듣고 완전한 이학적 검사를 시행한 후에 진단된다. 의사는 폐 조직을 가시화하기 위해서 흉부 X-선 촬영을 지시할 수 있다. 폐의 호흡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폐기능 검사(PFTs)가 사용된다. 환자들, 특히 폐기종의 증상이 50세 이전에 나타난 경우에는 또한 혈액 중 단백 결핍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받을 수도 있다.
△치료:치료는 폐포의 파괴를 늦추면서 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환자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호흡기 감염을 피하기 위해서 전반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환자들이 건강한 식이를 준수하고 일정한 정도의 활동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록 숨쉬는 것이 매우 힘든 환자에게 이러한 것들이 쉬운 목표는 아니지만 이들은 호흡과 근육 강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처음 진단되었을 때 폐기종의 원인을 확인해야 하고 폐를 자극하는 물질에 대한 노출도 평가되어야 한다. 흡연하는 환자들은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모든 환경적인 공해 또한 피해야 한다. 환자들에게 매년 인플루엔자 백신을 투여하고 6년 후에 재차 투여해야 하는 폐구균성 폐렴 백신을 투여하는 것이 호흡기계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기관지확장제:기도를 열고 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약물이 기관지 확장제이다.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albuterol, pirbuterol, metaproterenol, terbutaline을 포함하는 이들 약물들은 단지 어느 정도만 효과적이다. 다수의 기관지 확장제가 서로 다르게 작용하기 때문에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이 약물들을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치료법:호흡기계 감염의 첫 번째 증상이 있거나 숨쉬기가 힘들어지는 때에는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약사들이 약물에 대한 환자의 질문에 대답할 수 있다.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a general term used when a patient suffers from airway obstruction that is not reversible. COPD patients include those with chronic bronchitis, emphysema, or both of these respiratory conditions. Patients with COPD can also have asthma, a reversible airway obstruction, complicating their condition.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COPD have both chronic bronchitis and emphysema. The highest risk factors for developing COPD in the U.S. are cigarette smoking and aging. Workplace or environmental pollution with chemical fumes or dust is another source of obstructive airway disease. The typical patient with COPD begins showing symptoms of chronic cough with sputum in their 40s or 50s. In their 50s and 60s, they visit the doctor with symptoms of shortness of breath. A diagnosis of COPD is based on the patient's history of symptoms, chest x-ray, and pulmonary function(breathing) tests. Treatment is aimed at preventing further worsening of symptoms by avoiding smoking, pollution or other triggers of symptoms, including infections. Proper nutrition and exercise also help the patient with COPD to lead an active, productive life.
폐기종은 만성 폐질환으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 즉 COPD의 두 형태 중 하나이다(또 다른 형태는 만성 기관지염이다). 미국인 약 3백만명이 폐기종을 앓고 있다.
폐기종의 가장 흔한 원인은 수년간의 흡연과 환경적인 독소에의 노출이다. 폐기종에서는 폐에 있는 수백만 개의 미세 공기 주머니가 커지고 결국 파괴된다.
폐포로 알려진 이들 공기 주머니가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들의 파괴는 혈중 산소 농도의 감소와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을 야기시킨다. 이 결과로 호흡 곤란이 나타나며, 이는 수년 후에 더 현저해진다. 종국적으로 이 질환은 심부전을 유발한다. 페기종은 영구적인 중증 질환이며, 비록 약물에 의해서 증상이 어느 정도는 경감될 수 있더라도 이 질환이 역전될 수 없다. 기관지 확장제로 알려진 약물들이 다소 효과적이며, 숨쉬는 것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처방된다. 흡입용 또는 경구용 부신피질 호르몬과 산소 치료 또한 처방될 수 있다.
폐기종이 있는 일부 환자들은 알파-1 안티트립신으로 알려진 단백질의 결핍으로 인한 유전적인 질병 형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적인 요인은 작은 수의 환자에서만 이 질환의 원인이 된다.
폐포의 파괴는 혈중 산소 농도를 낮춘다. 폐기종에 가장 효과있는 치료법은 금연하는 것이며, 이는 호흡 곤란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폐기종에서는 폐를 구성하는 3억개의 공기 주머니(폐포)가 비가역적으로 커지고 그 벽이 파괴된다. 이들 공기 주머니를 통해서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교환되기 때문에 공기 주머니가 파괴되면 산소가 혈류에 도달하는 것이 힘들어질 수 있다. 동시에 호흡시에 폐가 확장, 수축하는 것을 돕는 탄성 섬유가 서서히 파괴된다. 이러한 탄성도가 없으면 환자들은 숨을 내쉬는 것이 힘들어진다.
△주요 증상:폐기종 환자에서 나타나는 주요 증상은 호흡 곤란이다. 초기에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운동 또는 활동시에 이를 인지하게 된다. 마침내는 윗충에 올라가는 것과 같은 단순한 일을 하는 것도 어려워진다. 폐기종이 있는 다수의 환자들은 또한 만성 기관지염을 앓게 되는 데 이는 객담을 수반한 기침을 유발한다. 폐기종은 의사가 증상의 완전한 기왕력을 듣고 완전한 이학적 검사를 시행한 후에 진단된다. 의사는 폐 조직을 가시화하기 위해서 흉부 X-선 촬영을 지시할 수 있다. 폐의 호흡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폐기능 검사(PFTs)가 사용된다. 환자들, 특히 폐기종의 증상이 50세 이전에 나타난 경우에는 또한 혈액 중 단백 결핍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받을 수도 있다.
△치료:치료는 폐포의 파괴를 늦추면서 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환자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호흡기 감염을 피하기 위해서 전반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환자들이 건강한 식이를 준수하고 일정한 정도의 활동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록 숨쉬는 것이 매우 힘든 환자에게 이러한 것들이 쉬운 목표는 아니지만 이들은 호흡과 근육 강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처음 진단되었을 때 폐기종의 원인을 확인해야 하고 폐를 자극하는 물질에 대한 노출도 평가되어야 한다. 흡연하는 환자들은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모든 환경적인 공해 또한 피해야 한다. 환자들에게 매년 인플루엔자 백신을 투여하고 6년 후에 재차 투여해야 하는 폐구균성 폐렴 백신을 투여하는 것이 호흡기계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기관지확장제:기도를 열고 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약물이 기관지 확장제이다.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albuterol, pirbuterol, metaproterenol, terbutaline을 포함하는 이들 약물들은 단지 어느 정도만 효과적이다. 다수의 기관지 확장제가 서로 다르게 작용하기 때문에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이 약물들을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치료법:호흡기계 감염의 첫 번째 증상이 있거나 숨쉬기가 힘들어지는 때에는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약사들이 약물에 대한 환자의 질문에 대답할 수 있다.
'지혜 건강 상식 > 건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관지 확장증 - 원인, 증상, 치료 (0) | 2008.06.02 |
---|---|
원인 없는 만성 어지럼증 뇌혈류순환장애 의심해야; (0) | 2008.06.02 |
폐기종의 증상, 원인과 치료 (0) | 2008.06.02 |
입술로 알아보는 나의 건강도 (0) | 2008.05.24 |
뇌경색 예방법 (0) | 2008.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