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노력의 대가로 얻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소소함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행복은 노력의 대가로 얻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소소함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지란지교(芝蘭之交) 자세히보기

뉴스 여행 연예/오늘의 뉴스

태안 기름유출 이후 소근2리 어촌의 삶

정부혜 2008. 10. 22. 18:49

태안 기름유출 이후 소근2리 어촌의 삶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8.10.22 02:38

50대 남성, 충청지역 인기기사 자세히보기


[서울신문] 지난해 12월7일 발생해 1년이 가까워지고 있는 태안 기름유출사고는 어민들의 생활지형을 180도 바꿔놓고 있다. 자원봉사자 덕에 관광지는 상처가 많이 치유돼 갈수록 경기가 살아나고 있지만 바다에서 생계를 잇는 어촌지역은 갈수록 고통을 더해가고 있다. 풍요롭던 마을 주민들은 '자린고비 생활'로 하루를 버티고 있다.
"작년 같으면 한창 굴을 딸 때인데, 요즘은 남의 벼수확 품팔이도 하고 밤에는 방에 콕 박혀 지내요."

충남 태안군 소원면 소근2리 장경봉(49)씨는 기름유출사고 후 달라진 생활상을 전하면서 한숨을 쉬었다.

굴따기 대신 한철뿐인 벼수확 품팔이
지난 20일 소근2리에서 만난 장씨는 남의 논에서 볏가마를 나르고 있었다."트럭으로 볏가마를 날라주고 하루 6만~7만원 버는데 수확이 끝나면 뭘할지 답답합니다." 장씨는 자기 논의 벼수확을 일찌감치 끝내고 품팔이에 나선 것이다. 예전에는 꿈도 꾸지 못했던 일이다.

장씨는 논 1900평(6270㎡)과 밭 1000평(3300㎡)을 갖고 있지만 연간 순수입은 700만~800만원에 불과하다. 자녀 학비는 고사하고 난방비와 전기세 등도 대기 어려운 액수다.

부인은 지난 8월부터 하루 2만 5000원 안팎인 풀깎기 등
공공근로 사업을 나간다. 굴양식 등 바다에서의 돈벌이가 완전히 끊겼기 때문이다. 정부에서는 굴양식을 허용했지만 게구멍에 타르덩어리가 꽉 차 있는 등 아직도 갯벌에 기름이 많이 남아 있다. 장씨는 "모래와 달리 갯벌은 트랙터 등으로 갈아엎지 못해 기름이 전혀 제거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연간 순수입 6500만원→1700만원
예전 같으면 굴양식이 한창일 때다. 이 마을 80가구 가운데 30가구가 매년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굴양식을 했다. 사고 전에 장씨는 5000평에 굴양식을 해 연간 4000만원의 순수입을 올렸다. 낙지를 잡아 1100만원을 벌었다. 겨울을 빼고 틈틈이 그물로 우럭과 주꾸미 등을 잡아 팔았고 부인은 갯벌에서 바지락을 캤다. 모두 합하면 연간 순수입이 6500만원에 달했다. 이날 이 마을은 주민 대부분이 부업이던 농삿일을 나갔고 갯벌에는 빈 굴채취선만 늘어서 있었다. 도리깨질로 콩을 털던 60대 아주머니는 "낙지를 잡으면 머리에서 기름냄새가 난다."고 말했다. 이장 김용태(62)씨는 "굴 양식을 하지 않는 주민들도 낙지 등을 잡아 전기세와 난방비를 댔는데 큰 일"이라고 걱정했다.

아들 군대 보내도 빚만 늘어
바다에서 돈이 나오지 않자 장씨는 지난 4월 가기 싫어하는 막내아들을 군에 보냈다. 그는 "2남1녀 대학 보내는 데 연간 4500만원이 들어 어쩔 수 없었다."면서 "남은 애들 학비를 대느라 전에 없던 빚이 1700만원이나 생겼다."고 어두운 표정을 지었다.

보상커녕 방제비도 안나와 허덕
장씨는 최근 기름보일러를
화목보일러로 바꿨다. 한달에 20번 이상 태안읍내로 나가 친구들과 만나던 일도 3~4번으로 줄였다. 그는 "친구들만 돈 내는 것이 면목 없어 '바쁘다.'고 핑계 대고 안 나간다."고 씁쓰레 웃었다. 고기 사먹는 횟수도, 애들 용돈도 월 20만원에서 10만원으로 줄였다. 장씨는 "예전 같으면 밤 11시까지 인부들을 사 굴을 깠다."고 회고한 뒤 "돈이 안도니까 마을 주민들간에 왕래도 뜸하고 인심도 야박해졌다."고 전했다.

인근 의항리 등 어촌 마을들도 사정은 비슷하다. 장씨는 "갯벌 자연정화에 10~20년 걸린다는데 답답하다."며 "보상은커녕 방제비도 안 나와 주민들이 사느니 죽느니 하는 판에 정부는 도통 관심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글 사진 태안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 관련기사 ]